네이버 검색광고를 시작할때
키워드를 어떤 기준으로 분류하여
세팅 할지 고민이 되는데요
어떤 기준으로 세팅하면 좋은지
제 경험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.
광고 세팅시에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은데요 (거의 대부분의 광고매체가 비슷합니다)
광고 처음 세팅할때 어떻게 나누면 좋을지 몰라서
캠페인, 그룹 1개식만 만들고
그룹 안에 모든 키워드를 다 넣어놓고는 하는데요
구조도를 보시면 캠페인 아래에 그룹이 있고 그룹아래에 키워드가 있습니다.
그리고 그룹에 광고문구(광고소재)가 연결되어있고
그 광고문구가 키워드 검색했을때 노출이 되는데요
이런 구조를 생각해보면
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1개일 경우는
한개의 캠페인에 한개의 그룹만 넣고
그 안에 소재(광고문구) 세팅하고, 관련 키워드를 전부 넣으면 되지만
제공하는 제품의 카테고리나, 서비스가 여러개일 경우
노출되는 문구 기준으로 그룹을 나누어
키워드를 넣는것이 좋습니다.
(너무 당연한가 싶기도 하네요.. ^^;;)
예)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한의원
건선치료, 두드러기, 백반증등
캠페인 명 : 피부질환
그룹명1 : 건선 - 소재
(건선 관련 광고문구 - 관련 페이지로 도착페이지(URL) 설정)
그룹명2 : 두드러기
(두드러기 관련 광고문구 - 관련 페이지로 도착페이지(URL) 설정)
그룹명3 : 백반증
(백반증 관련 광고문구 - 관련 페이지로 도착페이지(URL) 설정
[캠페인/그룹/키워드/소재 세팅]
[비즈채널 등록]
웹사이트 : 검색광고, 브랜드검색광고등 광고 진행시
쇼핑몰 : 쇼핑검색광고 진행시 - 홈페이지가 쇼핑파트너에 입점해있어야 함
https://center.shopping.naver.com/login
콘텐츠 : 파워컨텐츠 진행시
플레이스 : 플레이스 광고 진행시 - 네이버 스마트플레이스에 가입되어있어야 함
https://new.smartplace.naver.com/
그 외 항목은 생략
[캠페인 생성]
캠페인 명 : 이름은 적당히
하루예산 : 설정 안해도 되지만 하루예산 x 30일 로 예상해서 정해진 월 예산 넘지 않게
- 예산 설명1 : 캠페인 예산은 설정안해도 그룹예산을 설정하면 그룹에 맞게 광고비가 소진됨
- 예산 설명2 : 과소진을 막기위한 장치이므로 정해진 예산 보다 좀더 써도 됨 (대신 그룹예산을 디테일하게 적용해야함)
- 저의 경우는 캠페인 예산은 설정 안하거나 크게 설정해놓고 그룹에서 그룹예산을 디테일하게 하고 있습니다.
[그룹생성]
그룹명 : 소재/키워드 카테고리에 맞는 이름
URL : "비즈채널"에 등록한 사이트
아무것도 뜨지 않는다면 정보관리 -> 비즈채널 관리 -> 채널추가
기본입찰가 : 키워드에서 개별입찰 하지 않았을때 적용되는 기본입찰가 - 우선 기본가로 적용
(자동입찰은 여기서는 손대지 않음)
하루예산 : 그룹에 적용되는 일예산, 하루 소진되도 되는 금액을 적당히 설정, 예산이 도달하면 광고는 정지됨
- 캠페인에 설정된 일예산보다 적어도 됨
- 이 경우 캠페인에 설정된 금액이 도달하면 캠페인 금액에 맞춰 광고 오프됨
- 캠페인 예산은 설정하지 않더라도 그룹예산은 설정하는것을 권장합니다.
- 그룹에서 과소진이 생겼을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설정을 권장하고
- 과소진이 생겼을 경우 이용하시는 대행사를 통해 보상여부 검토도 가능합니다. (보상이 안나올수도 있음)
[키워드]
그룹 -> + 새 키워드 -> 키워드 추가하기 메뉴
1번 항목 : 키워드를 수동으로 기입 할 수 있음
2번 항목 : 네이버에서 그룹에 등록된 키워드와 최대한 연관된 키워드를 띄워줌
- 2번 항목이 안나오는 경우
: 1번 항목에 사용할 키워드 아무거나 넣어서 우선 저장하고, 다시 키워드 추가하기 누르면
방금 저장했던 키워드와 관련 키워드가 나옵니다
[소재생성]
반응형, 단일형 소재가 있는데 여기서는 단일형으로 생성합니다
표시URL : 비즈채널에 등록한 URL (정보관리 -> 비즈채널 관리)
연결URL : 제공하는 서비스로 연결되는 URL (제공하는 서비스로 바로 연결되게 하는걸 추천)
- 기본설정값으로 놓는 경우가 많은데, 이탈을 줄이려면 제공서비스 URL 로 넣는게 좋습니다.
제목 : 보통 업체명과 간략한 제품(서비스)을 기입 (띄어쓰기 포함 15자 이내 )
설명 :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구체적인 내용등을 기입, 할인, 특징, 강점 등등등 (띄어쓰기 포함 45자 이내)
키워드삽입 : 검색된 키워드가 강조됨
- 대체키워드 : [등록한 문안의 글자수 + 검색어의 글자수] 가 글자수 한도 이상이 될경우 대체되는 키워드
: 그래서 대체키워드는 글자수가 적은 대표 키워드를 주로 쓴다
: 아래 소재 예시에서 키워드 삽입기능을 써서 청바지 추천이 볼드로 강조 되었음
- 검색키워드가 볼드로 표시되면 해당 기능을 쓰지 않은 타사 광고문안 보다 눈에 띄어서 클릭율이 높아져 주로 썼으나
최근에는 확장소재 기능이 잘되어있어 굳이 안써도 되는 기능
각 기본적인 기능 설명과 초기 기초 그룹세팅 방법 말씀드렸는데요
다음번에는 좀더 심화된 세팅 방법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
'광고 > 네이버 광고 - 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이버광고 - 파워링크] 광고 그룹 설정 - 확장 검색, 일치검색 (3) | 2025.04.02 |
---|---|
[네이버광고 - 파워링크] 광고 그룹 설정 - 노출 매체 (0) | 2025.04.01 |
[네이버광고 - 파워링크] 광고 그룹 설정 - 입찰가 설정 (기본 입찰가, 자동입찰) (0) | 2025.04.01 |
[네이버광고 - 파워링크] 초기 광고 세팅 하기 - 키워드 그룹 나누기 (심화) (0) | 2025.03.24 |
[네이버광고 - 파워링크] 초기 광고 세팅 하기 - 키워드 그룹 나누기 (기본) (0) | 2025.03.17 |